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국요리10

[중식19] 울면 [중식19] 울면 한국식 중화 요리의 하나로 전분을 넣어 걸쭉하다 못해 뻑뻑한 맑은 국물이 특징인 국수요리. 중국 요리인 원루몐(溫滷面, "따뜻한 국수"라는 뜻)에서 유래. 울면 조리방법 1. 물 올리기 - 목이 불리기, 중화면 삶기 2. 오징어 - 껍질 벗겨 내장 쪽 칼집 -> 6Cm 채 썰기 새우 - 내장 제거 마늘, 대파 - 채 썰기 양파, 당근, 배춧잎 - 6Cm , 채 썰기 목이 버섯 - 한마디로 찍어 사용 & 채 썰기 3. 중화면 데치기 4. 냄비 순서 물 3C -> 마늘, 대파 -> 간장, 청주(1t 씩) -> 오징어, 새우(거품 제거) -> 야채 -> 소금, 흰후추 -> 물전분 -> 달걀 -> 부추 -> 참기름 5. 데쳐놓은 면 위에 국물을 부어준다. 울면 재료준비(1인분 기준) 중화면(생.. 2022. 8. 24.
[중식18] 홍쇼두부(홍샤오또우푸) [중식18] 홍쇼두부(홍샤오또우푸) 홍쇼두부는 두부를 노릇하게 튀겨 간장으로 간을 한 소스에 버무리는 음식으로 중국의 산동요리이다. 산동요리의 특징은 맛이 부드러우며 순한 것이다. 홍쇼두부 조리방법 1. 물 올리기 - 죽순, 양송이 데치기 2. 두부 - 5×1Cm 삼각형 크기로 재단 - 수분 제거 - 노릇하게 튀기기 & 지지기 3. 파, 마늘, 생강 - 편 썰기 양송이, 죽순, 표고, 청경채, 홍고추 - 5×1Cm 편 썰기 4. 고기 - 5×1Cm 얇게 편 썰기 - 간장, 청주 밑간 - 흰자, 전분 5. 팬 순서 파, 마늘, 생강 -> 간장, 청주 -> 고기 -> 표고, 죽순, 양송이 -> 물 1C, 간장1/2T -> 물전분 -> 두부, 청경채, 홍고추 -> 참기름 홍쇼두부 재료준비(1인분 기준) 두부 .. 2022. 8. 24.
[중식16]양장피잡채(챠오로우량장피) [중식16] 양장피잡채(챠오로우량장피) 양장피잡채는 중국에서 즐겨먹는 냉채요리로 서양의 전체요리에 해당한다. 접시의 가장자리에는 어떤 재료든 조화롭게 담을 수 있다. 주로 채소와 해산물을 사용하고 가운데에는 볶은 고기와 양장피를 어울리게 담는다. 사용되는 양장피는 양분피라고도 하며 전분이 주성분으로 고급 중국요리에 사용되는 재료이다. 사용시에는 따뜻한 물에 불린 후 데쳐내어 얼음물이나 찬물로 씻어 손으로 찢거나 채를 썰어 사용한다. 겨자를 발효시켜 겨자초장을 곁들이거나 볶은 재료를 무쳐 담기도 한다. 겨자초장을 무쳐 담을 때에는 상에 내기 직전에 무쳐야 맛을 잃지 않는다. 양장피잡채 조리방법 재료씻기, 물 끓이기 양장피 - 삶아 헹궈 4×4Cm -소금, 참기름 새우 - 내장 제거, 데쳐 포뜨기 오징어 -.. 2022. 8. 20.
[중식14] 빠스고구마(빠스띠과) [중식14] 빠스고구마(빠스띠과) 고구마탕은 고구마를 노릇노릇하게 튀겨낸 후 설탕시럽에 재빨리 버무려 만든 음식으로 산동요리에 속하며 후식으로 사용된다. 계절에 따라 감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듯 재료를 기름에 튀겨 설탕시럽을 만든 후 여기에 재료를 버무려 설탕이 마치 실처럼 늘어지도록 만드는 음식을 발사 (빠스)라 한다. 발사는 원래 누에고치에서 길게 실을 뽑는 것을 의미한다. 발사를 만드는 방법은 수발(팬에 설탕과 물을 넣고 설탕시럽을 만듦), 유발(팬에 설탕과 기름을 넣고 설탕시럽을 만듦), 수유발(팬에 설탕과 물, 기름을 넣고 설탕시럽을 만듦)이 있다. 빠스고구마 만들기 1. 고구마 -껍질제거 -> 길이로 4등분 - 4Cm 길이로 다각썰기 - 물에 담구어 보관 - 수분제거 후 2회 튀기기 2. .. 2022. 8. 20.
[중식11] 경장육사(징짱러우쓰) [중식11] 경장육사(징짱러우쓰) 북경지방의 춘장인 '경장'을 넣어 볶은 것으로 파채를 깔고 그 위에 요리를 올린다. 꽃빵을 곁들여도 좋다. 경장육사는 향이 강한 중국 음식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무난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다. 춘장을 기본으로 돼지고기, 쇠고기 또는 해물을 재료로 하여 만들기도 한다. 경장육사 조리방법 1. 물올리기 - 죽순 데치기 2. 대파 - 5Cm 어슷 채 썰기(찬물) 죽순 - 5Cm 채 썰기 마늘, 생강 - 채 썰기 3. 돼지고기 - 5Cm 채썰기 - 간장, 청주 밑간 - 흰자, 전분 4. 춘장볶기 - 식용유 1T + 춘장 1T 5. 팬순서 마늘, 생강 -> 간장, 청주 -> 죽순, 고기 -> 볶은 춘장 1T, 물 2~3T, 설탕1t, 굴소스 1t-> 물전분 -> 참기름 6.. 2022. 8. 20.
[중식10] 오징어냉채(리앙빤요우위) [중식10] 오징어냉채(리앙빤요우위) 오징어냉채는 삶아낸 오징어의 부드럽고 담백한 특유의 맛과 오이의 신선함, 그리고 겨자소스의 톡 쏘면서 시원한 맛이 어우러진 요리이다. 냉채는 재료를 차게 식히거나 생으로 요리해서 먹는 음식으로 재료가 신선해 비린내와 누린내가 나지 말아야 하고 기름기가 적으며 소스가 재료에 충분히 스며들게끔 만드는 것이 포인트이다. 오징어 냉채 조리방법 1. 물 올리기 - 겨자 1T+물1T -> 발효 - 식초 1T+설탕 1T, 소금, 참기름 - 체에 내리기 2. 오징어 - 껍질제거 후 내장 쪽 칼집 넣기 - 3~4Cm 길이, 폭 3Cm 썰기 - 데친 후 찬물 헹구기 3. 오이 - 어슷 3Cm 썰기 (반달보양) 4. 접시에 오이 돌려 담기 -> 오이+오징어 겨자장 버무려 완성 오징어냉채.. 2022. 8. 20.
[중식9] 깐풍기(깐펑지) [중식9] 깐풍기(깐펑지) 바삭하게 튀긴 닭을 매콤한 소스에 버무린 요리로 '깐풍'이란 국물 없이 마르게 볶은 음식을 말하며 '기'는 닭고기를 의미한다. 깐풍기 조리방법 1. 닭 - 뼈 제거 후 3Cm 재단 - 간장, 청주, 소금, 후추 밑간 - 흰자, 전분 - 2회 튀기기 2. 청피망, 홍고추 - 0.5×0.5Cm 재단 마늘, 대파, 생강 - 0.2Cm 다지기 3. 팬 순서 대파, 마늘, 생강 -> 간장, 청주 -> 홍고추 물2T, 설탕2T, 식초2T, 간장(색), 소금, 후추 청피망 -> 닭 -> 참기름 깐풍기 재료준비(1인분 기준) 닭다리 --- 1개(중) 대파(30Cm 기준) --- 1토막 마늘 --- 3쪽 달걀 --- 1개 청피망 --- 50g 홍고추 --- 1개 생강 --- 5g 녹말가루 청주.. 2022. 8. 16.
[중식8] 라조기(라쟈오지) [중식8] 라조기(자랴오지) 라조기의 '라조'는 고추, '기'는 닭을 뜻한다. 양념한 닭고기를 튀긴 후 표고버섯, 죽순 등과 같은 부재료를 넣고 맴게 볶은 사천요리이다. 사천요리는 중국의 양쯔강 상류의 산악지대 요리로 바다가 멀고 추위가 심해 마늘, 파, 고추 등 향신료를 많이 쓴 매운 요리가 발달했다. 따라서 라조기는 맵고 간간한 맛이 특징이다. 라조기 조리 방법 1. 물 올리기 -양송이, 죽순 데치기 2. 닭 - 뼈 제거 후 5×1Cm로 썰기 - 간장, 청주, 소금, 후추 밑간 - 흰자, 전분 - 2회 튀기기 3. 마늘, 생강, 대파 - 편 썰기 양송이 - 모양대로 편 썰기 청경채, 청피망, 죽순, 표고버섯 - 5×1Cm 편 썰기 4. 팬 순서 고추기름 -> 건고추 -> 파, 마늘, 생강 -> 간장,.. 2022. 8. 16.
반응형